독립(자유)을 위한 희생
top of page

독립(자유)을 위한 희생

문재인 대통령은 3·1절 기념사에서 유관순 열사 외에 잘 알려지지 않은 6명의 여성 독립운동가를 소개했다. 유관순 열사에 이어 두번째로 언급한 동풍신 열사는 1919년 3월 함경북도 명천에서 만세시위 도중 아버지가 헌병의 총격으로 숨졌다는 소식을 듣고 15살 나이로 시위대를 이끌다가 헌병에 체포돼, 서울 서대문형무소에서 고문을 받다 1921년 17살 나이로 순국했다, “최초 여성 의병장”으로 소개한 윤희순 의사는 1895년 시아버지가 의병을 일으키자 ‘안사람 의병가’, ‘의병군가’ 등을 지어 항일독립정신을 일깨웠고, 1907년에는 직접 ‘안사람 의병대’를 조직해 의병운동을 지원, 1911년 만주로 이주해 학교(노학당)를 세우고 교장을 맡다가 남편, 맏아들이 고문으로 숨지자 스스로 곡기를 끊고 1935년 75살 나이로 중국에서 순국했다.

백범 김구 선생의 어머니인 곽낙원 여사는 “강직한 어머니”로서 아들과 독립운동가들의 뒷바라지를 하다 1940년 중국 충칭에서 순국했다. 상하이 임시정부 시절 독립운동가들이 자신의 생일상 마련을 위해 준비한 돈으로 ‘독립운동에 쓰라’며 권총 두자루를 사서 건넸다.다음은 “독립군의 어머니”라며 남자현 여사로 영화 <암살>에서 배우 전지현씨가 맡은 ‘안옥윤’의 실제 모델인데, “3·1운동 직후인 3월9일 46세에 압록강을 건너 서로군정서에 가입했고 ‘독립은 정신으로 이루어진다’는 말을 남기고 1933년 8월 61살의 나이에 순국했다.

‘의열단’ 박차정 열사는 1924년 부산 동래 일신여학교 재학 중 조선청년동맹, 근우회, 동래노동조합, 신간회 등에 참여후, 부산방직 파업 사건으로 체포됐다가 석방 뒤 중국으로 망명해 의열단장 김원봉(익산)을 만나 결혼, 의열단원으로 활동했다. 조선의용대 소속으로 항일무장투쟁을 하다 얻은 부상의 후유증으로 1944년 충칭에서 순국했다. 또 정정화 의사는 3·1운동 직후 시아버지인 대동단 총재 김가진과 함께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1930년까지 6차례에 걸쳐 국내를 왕복하며 임시정부에 거액의독립운동자금을 모집·전달했다. 충칭 임시정부에서 독립운동가 자녀 교육 등을 담당했다. 1991년 서거했다.그날 박차정 열사가 나온 일신여학교 학생들은 “밤을 지새우며 태극기를 그렸다”. 김남일 기자,

다른 영혼들의 영원한 자유를 위해 이제 우리가 희생(헌신)할 때임을 기억합시다.


추천 게시물
Check back soon
Once posts are published, you’ll see them here.
최근 주일설교

주일설교 & 칼럼

날짜별 분류
bottom of page